[Way to PM] SQL - pgAdmin4에서 postgreSQL 시작하기

2024. 2. 23. 14:23[Way to PM] SQL

0. 레퍼런스(참고자료)

1) 오르미 부트캠프 SQL, ERD 챕터1

2) Chat gpt 및 구글링

1. WHY - 해당 글 작성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

1) SQL 시작 중 겪었던 시행착오와 해결방법 정리

2. HOW, WHAT - 문제 해결 과정 및 결과(코드 및 이미지)

1) 문제 상황 발생:

 1번. pgAdmin4를 통해 postgreSQL을 실행시키고자할 때 server가 생성되지 않(았다고 착각해버린)는 문제

 2번. 인텔리제이에 postgreSQL연결하고 커밋하기

 

2) 문제 원인 탐색 및 문제 해결

1번. pgAdmin4를 통해 postgreSQL을 실행시키고자할 때 server가 생성되지 않(았다고 착각해버린)는 문제

 서버를 등록하려 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반복되었으나 구글링을 해도 저런 오류는 찾지 못했다.(GPT, StackOverFlow 등). 따라서 유사한 오류라고 가정하고 해결방법을 몇 가지 시도해보았다. window 기준이다. 

 1.  postgreSQL이 실행되지 않아서 admin에 연결이 안되었을 경우 

 -> 서비스에서 postgresql이 실행되는 것 확인

 -> 문제 해결 실패

 

2. postgresql.config 파일에서 포트번호와 참조주소가 안 맞는 경우

 -> data파일에서 postgresql.config 파일에서 port와 listen_addresses =*로 되어있는 것도 확인

 -> 문제 해결 실패

 

3. postgreSQL 재설치

4.재부팅

5. pgAdmin4와 postgreSQL의 버전 호환이 안 될 경우

-> 어드민만 재설치

-> 문제해결 실패

 

등 5가지를 시도했지만 해결이 되지 않았다. 그 후 부트캠프 멘토님께서 도움을 주셔서 문제를 해결했는데, 원인은 무려..

 이미 생성되어 있던 server카테고리를 클릭하지 않았던 것이다. 최초 생성시에 오른쪽 숫자가 명시되어 있지 않아서 바로 서버등록부터 진행하려고 했다. 하지만 이미 서버가 등록되어있는데 서버를 등록하려고하니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이걸로 3시간을 소비했다..

 

  2번. 인텔리제이에 postgreSQL연결하고 커밋하기

 인텔리제이에서 sql구문을 연습하고 깃허브에 올리기 위해 연동을 시도했다. database에 연결하는 것과 파일을 생성해서 커밋하는 건 좀 다른데, 파일을 생성해서 콘솔에 연결하고 데이터를 명령어를 입력하고 데이터를 조작해보는 연습을 프로젝트 파일에서 하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라야 한다.

 

 1. 디렉토리에 파일 이름을 'name.sql'로 생성

 2. generic sql에서 사용하고 있는 sql 프로그램 선택(postgreSQL 등)

 3. console 연결하고 table 있는 schema 선택하면

 

이렇게 콘솔로 입력하고 데이터를 만질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 쿼리 콘솔로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은 별개다.

5. 배운점 및 자기평가

배운점

1) 프로그래밍은 논리적인 과정이라 처음 접할때 절차에 따르고 소모적인 과정을 피한다.

 

자기평가

1) 문제가 복잡해보이면 간단하게 접근해본다.

 

'[Way to PM]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y to PM] SQL - 데이터 조회(그룹화 및 정렬)  (1) 2024.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