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4)
-
[Way to PM] HTTP 상태 코드, 메서드, 헤더
1. 상태코드 존재의 이유 상태 코드는 서버로부터 Request를 전달하는데, 응답의 성공 여부와 정보를 나타낸다.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404 Not Found: 요청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 내부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이 세가지는 자주쓰는 상태코드이며 1xx : 정보(Information) : 요청을 받아들여 처리중 2xx : 성공(Successful) : 요청을 정상적으로 처리했음 3xx : 리다이렉트(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기 위해서 추가 동작이 필요 4xx : 클라이언트 오류(Client Error) : 서버는 요청을 이해 불가능 5xx : 서버 오류(Server Error) : 서버는 요청을..
2024.01.19 -
[Way to PM] 쿠키와 세션
*보통 서버가 클라이언트 인증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크게 쿠키, 세션, 토큰 3가지 방식이 있다. 쿠키는 클라이언트측에 정보를 저장하고, 세션은 서버측에 정보를 저장한다. 1. 쿠키 Key-Value 형식의 문자열 묶음이다. 클라이언트가 어떤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HTTP 헤더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이때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 설치되는 작은 정보 파일이다. 이렇게 각 사용자마다 브라우저에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고유 정보 식별이 가능하다. 쿠키의 크기는 최대 4KB 쿠키는 HTTP 헤더에 포함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빠르며 보안에 취약하며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 저장되기 때문에 변조될 가능성이 있다. 2. 세션 쿠키의 보안적 이유로 인해 비밀번호와 같은 민감한 인증 정보를 브라우저가 아..
2024.01.19 -
[Way to PM] 네트워크 - URI, HTTP 기본
1. URI - 사람은 주민등록번호로 식별할 수 있고, 은행 계좌는 계좌번호로 식별할 수 있듯, 웹 서버의 자원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URI라는 식별자가 필요하다. -우리가 흔히 접속하는 구글 google.com 이것도 URI 라고 할 수 있다.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의 약자로, 리소스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한 정의다. 이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URL과 URN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 이 URI 이다. URI = URL(locator) URN(name) URL 은 Locator, 리소스의 위치를 뜻하고, URN은 Name, 즉 리소스의 이름을 의미한다. 그리고 보통 URI라 함은 URL을 말한다. 2. URL 하나씩 뜯어보기 - https://www.google.com/sea..
2024.01.19 -
[Way to PM] 네트워크 기초-HTTP, 계층, TCP
0. 인터넷 -전세계적을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을 말하며, 이때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신을 하게 된다. 웹에서 나아가 모바일 게임, 메일, 파일공유, 동영상 스트리밍 등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웹 서비스 개발자는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넷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저장하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람이다. 1. HTTP란? -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서 하이퍼 텍스르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어떻게 메시지를 교환할지를 정해놓은 규칙이다. -보통 웹브라우저는 마크업 언어인 HTML을 사용해 '문서'의 형태로 작성된 것을 토대로 운영체제에서 구동된다. 이 문서는 당연히 문자(text)로 구성되고 인터넷 환경에서 경..
2024.01.18